본문 바로가기

음악 공부/화성학

텐션(tension)은 무엇일까요? - 재즈화성학

반응형

들어가기

반주나 연주를 하면서 C9, G7(b9) 과 같은 코드들이 간혹 보이곤 합니다.

이렇게 뒤에 붙은 9과 b9을 우리는 '텐션'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배웠던 7화음인 C7, G7 과 위의 코드를 비교해서 들어보면

확실한 밀도의 차이와 색의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텐션이 포함된 코드 보이싱이 좋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풍부한 소리를 원할 땐 텐션만큼 효과적인 방법도 없죠.

 

그래서 오늘 우리는 tension에 대해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텐션(tension)의 정의

먼저 우리가 전에 배웠던 7화음(7th Chord) 하나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CM7 코드
CM7 Chord의 구성음

우리가 코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root(뿌리) 하나를 두고 그 위로 3도씩 쌓아주면 코드가 됩니다.

저 위의 사진을 예로 들자면 C라는 뿌리 위로 3도씩 3번 쌓아 CM7이라는 코드를 만든 것이죠.

3도가 장3도냐 단3도냐에 따라 코드의 성질도 달라지게 될 것입니다.

 

저렇게 쌓은 코드 위로 3도씩 계속해서 쌓아주면 어떻게 될까요?

CM7 위로 3도씩 계속 쌓은 코드
CM7 위로 3도씩 계속 쌓은 모습

 

제일 위에 있는 도는 생략하면 '레, 파, 라' 세 음이 추가가 됩니다.

 

root에서부터의 거리를 계산해 보았을 때 9(레), 11(파), 13(라)가 되며,

우리는 이 9음, 11음, 13음을 '텐션(tension)'이라고 부릅니다.

 

즉, 원래의 코드를 구성하던 1(도)음, 3(미)음, 5(솔)음, 7(시)음을 chord tone(코드 톤) 이라고 부르고,

9(레)음, 11(파)음, 13(라)음을 tension(텐션)이라고 부릅니다.

 


available tension(어베일러블 텐션) 과 avoid note(어보이드 노트)

 

이렇게 텐션을 만들어서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텐션에는 사용해서 좋은 텐션이 있고 나쁜 텐션이 있습니다.

 

사용해서 좋은 텐션을 available tension(어베일러블 텐션)이라 부르고,

사용하면 안되는 텐션을 avoid note(어보이드 노트)라고 부릅니다.

 

이것을 구분하는 방법을 C major key의 IM7인 CM7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텐션들을 한 옥타브 내립니다.

왼쪽은 위에서 설명한 CM7과 텐션들을 옆으로 펼친 모습 오른쪽은 텐션들을 한옥타브 내린 모습

 

2. 텐션 바로 아래 있는 코드 톤 음과 비교

즉, 9 = 레의 바로 아래 존재하는 코드톤은 1음인 도

 

3. 2번대로 비교했을 때 온음(장2도)면 available tension, 반음(단2도)이면 avoid note

9의 바로 아래 코드톤 = 1

11의 바로 아래 코드톤 = 3

13의 바로 아래 코드톤 = 5

 

따라서 도와 레는 장 2도로 어베이러블 텐션

미와 파는 단 2도로 어보이드 노트

솔과 라는 장 2도로 어베이러블 텐션이 됩니다.

CM7 사용 가능 텐션 정리
CM7의 사용 가능 텐션 정리

 

avoid note는 멜로디론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하지만

보이싱으론 3음과 부딪히는 느낌이 들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II-7의 예외사항

C major key II-7인 D-7도 마찬가지로 진행하시면 되지만,

한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D-7은

레(1) - 미(9) = available tension

파(b3) - 솔(11) = available tension

라(5) - 시(13) = avoid note

입니다. (파가 b3인 이유는 숫자로 표기할 때 D Major key가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라와 시는 장2도 관계인데 왜 avoid note 일까요??

 

그 이유는 D-7의 b3음인 파와 13음의 시가 'tritone'이기 때문입니다.

 

tritone 아주 불안한 음정 관계이며 V7인 G7이 가지고 있는 음정이죠.

보통 II-7은 V7 앞에 붙은 경우가 많은데 연속해서 tritone이 나타나면

I도를 통한 해결감이 많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II-7의 13음은 avoid note 입니다!

(하지만 II-7 뒤에 V7이 오지 않는다면 선택적으로 사용해도 괜찮답니다.
즉, 귀로 판단하여 연주하세요!)

 

VII-7(b5)의 예외사항

II-7은 avoid note가 되는 큰 이유가 있었지만

7도-7(b5)는 큰 이유가 없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에 남겨 놓습니다.

 

VII-7(b5)의 available tension = 11, b13 이고,

avoid note = b9 입니다.

그러나 avoid note인 b9을 연주해보면 생각보다 듣기 좋습니다.

따라서 VII-7(b5)의 'b9'은 avoid note지만 자유롭게 연주 가능합니다.

 


다이아토닉 코드들 하나 하나 해보시면 아래의 표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diatonic 7th chord available tension avoid note
IM7 9, 13 11
II-7 9, 11 13
III-7 11 b9, b13
IVM7 9, #11, 13 x
V7 9, 13 11
VI-7 9, 11 b13
VII-7(b5) 11, b13 b9

 

마치며

아직 텐션이 다 끝나지 않았습니다...ㅠㅠ

외워야 하는게 많아 많이 어려울 수 있지만,

화성학 공부를 해야하는 친구들은 참고 열심히 해보시기 바랍니다!!

 

궁금하신 점은 댓글이나 아래 링크를 통해 문의 주시면 도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