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계 (scale)란 무엇일까요?
음계(scale)란 어떠한 규칙을 가지고 음이 나열된 것을 이야기 하는데요.
예를 들어 우리가 흔히 아는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는 scale의 한 종류인 C major scale(다장조)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도~도를 1 oct(1옥타브)라고 합니다.
한 옥타브 안에는 12음이 존재하지만 조성음악에서는 기본적으로 7음계를 사용합니다.
(예로 C Major scale(다장조)은 '도, 레, 미, 파, 솔, 라, 시'로 총 7개 입니다.)
도에서 도까지. 즉, C 에서 C까지 반복되는 동안 C major scale을 이루는 음들은 온음(반음 두 개) or 반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반음? 온음?
여기서 반음과 온음은 무엇일까요?
피아노 건반을 상상해 봅시다.
건반을 보며 음이 낮은 순서대로 계이름을 읽어 봅시다.
도, 도#(레b), 레, 레#(미b), 미, 파, 파# ....
이때 바로 옆에 있는 계이름끼리 반음 관계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레' 바로 옆에 있는 짝꿍은 '도' 또는 '미'가 아닌 '도#(레b)', '레#(미b)'이 됩니다.
즉, 건반에서 봤을 때 바로 윗음 또는 바로 아래음이 반음 관계입니다!!
(중간에 어떠한 건반도 걸쳐져 있지 않은 관계입니다.)
이는 건반을 뒤집어서 보면 더 이해하기 쉬울 거라 생각이 듭니다.
(아래를 기준으로 바로 옆 건반이 반음 관계입니다.)
장음계 (Major scale)
음계란 어떠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장음계는 장음계만의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규칙만 따른다면 같은 느낌의 scale이 만들어집니다.
Major scale은 3, 4음과 7,8음이 반음, 나머지 음 간격은 온음인 scale입니다.
건반을 본다면 C Major scale의 3, 4음인 미(E), 파(F)와 7, 8음인 시(B), 도(C)가 반음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몇 음 몇 음이라고 하는 이 숫자는 해당 scale의 기준이 되는 음(C Major scale은 C를 기준으로 한다는 말입니다.)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 음인지 말하는 것입니다.
자기 자신을 포함하여 차례로 숫자를 세시면 됩니다.
C Major scale이 아니라면 이 규칙을 성립하기 위해 #(샵) 또는 b(플랫)이 붙습니다.
샵과 플랫을 붙이는 순서
샵과 플랫은 '조표'라고 합니다.
우선 #(샵)을 붙이는 순서는 '파 -> 도 -> 솔 -> 레 -> 라 -> 미 -> 시'이며,
샵이 하나 붙으면 G major scale,
두 개는 D major scale,
세 개는 A major scale,
네 개는 E major scale,
다섯 개는 B major scale,
여섯 개는 F# major scale,
일곱 개는 C# major scale 입니다.
쉽게 기억하기 위해 마지막 #이 붙은음에서 반음 올리면 tonic(scale의 첫 번째 음)이 됩니다.
예를 들어, 샵이 네 개 붙었다면 #을 붙이는 순서대로 파, 도, 솔, 레에 #이 붙고, 마지막 #이 붙은 음은 레#이 되며,
여기서 반음을 올리면 '미'로 샵이 네 개 붙은 scale의 tonic은 'E',
즉, E major scale이 됩니다.
b(플랫)은 #(샵)을 붙이는 순서의 반대로 붙게 됩니다.
즉, '시 -> 미 -> 라 -> 레 -> 솔 -> 도 -> 파' 순입니다.
b이 하나 붙으면 F major scale,
두 개는 Bb major scale,
세 개는 Eb major scale,
네 개는 Ab major scale,
다섯 개는 Db major scale,
여섯 개는 Gb major scale,
일곱 개는 Cb major scale 입니다.
b은 쉽게 기억하기 위해 마지막 바로 앞에 b이 붙은 음이 tonic이 됩니다.
예를 들어 b이 2개 붙었다면 시, 미로 마지막이 아닌 그 앞의 음은 시b이 되며,
이는 Bb으로 Bb이 tonic이 됩니다.
이는 Bb major scale입니다.
F major scale은 b이 하나 붙은 것으로 외워야 합니다.
사실 처음에야 이런 방법으로 무슨 key(조성)인지 찾지 나중에는 몇 개가 붙었는지 보고 바로 알 수 있어야 합니다.
어떠한 방법이던 자신만의 방법으로 외우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음악 공부 > 화성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의 기초가 되는 3화음(triad) - 재즈화성학 (4) | 2024.01.22 |
---|---|
음정이란 무엇일까? - 재즈화성학 (2) | 2024.01.20 |
단음계 (minor scale)에 대해서 알아보자 - 재즈화성학 (2) | 2024.01.13 |
선법(Mode) - 재즈 화성학 (2) | 2023.01.26 |